top of page

노령견 돌봄.

 

노령견과 질병관리 : 응급실에 와야 할 상황

 

미국수의사회(AVMA, American Veterinary Medical Association)가 제시하는 ‘최대한 빨리 동물병원에 가야 하는 동물의 13가지 응급상황’을 제시했습니다.

 

반려동물 보호자라면 아래의 13가지 상황을 잘 인식하고 있다가, 반려동물이 해당 증상을 보이면 바로 동물병원으로 가야 합니다.

 

  1. 심각한 출혈이 있거나 또는 5분 내로 지혈되지 않는 경우

  2. 숨막힘(chocking), 호흡곤란, 멈추지 않는 기침/헛구역질

  3. 코, 입, 직장의 출혈이나 혈뇨(血尿), 토혈(吐血)

  4. 배뇨 장애, 배변 장애 또는 배뇨·배변시 명백한 통증

  5. 눈(안구) 부상

  6. 중독성 물질을 먹었거나, 먹었다고 의심될 때(부동액, 자일리톨, 초콜릿, 살서제 등)

  7. 발작, 비틀거림

  8. 골절, 심각한 절뚝거림(lameness), 다리를 사용하지 못함

  9. 명백한 통증이나 극심한 불안

  10. 열사병, 일사병 등의 열로 인한 스트레스

  11. 극심한 구토·설사가 하루에 2번 이상 있거나 또는 구토·설사와 함께 다른 심각한 질환 (또는 이 리스트 내의 다른 질환)이 동반되는 경우

  12. 24시간 이상 물을 마시지 않음

  13. 의식불명

 

위의 내용에서 몇 가지를 추가해서 설명하겠습니다.

 

일어나지 못할 때

일어나지 않는 것이 아니라, 일어나지 못한다면, 상식적으로 이유를 불문하고 병원에 가는 게 맞습니다.

 

토할 때

 

한두번 토할 때는 응급실로 뛰어올 상황은 아닌데, 4~5번을 토하면 응급실로 와야 하는 상황입니다. 특히 걱정스러운 것은 위와 장이 막혔을 경우입니다. 노령견에서 자주 토하는 것은 신장이나 간 부전 때문일 수도 있습니다.

뿐만 아니라 토하면서 기운이 없거나, 토해서 나온 토사물에 피가 섞여 있을 때는 지체없이 동물병원에 가서 수의사의 진단을 받는 것이 맞습니다.

 

설사

 

통 한 두 번의 설사는 별 문제가 아니거나 금방 해결될 문제인 경우가 많습니다. 하지만 4~5번 설사를 하게 되면, 응급실로 오는 것이 좋습니다. 설사 그 자체만으로도 탈수가 일어날 수 있습니다. 탈수가 일어나면 수의사가 응급실에서 수액을 맞출 수도 있고 피하수액을 할 수도 있습니다. 그리고 설사약을 줄 수도 있습니다. 설사약은 수의사가 진단 후에 주는 것은 문제가 없지만, 만약 집에 설사약이 있다고 맘대로 주면 상황에 따라서는 증상이 심해질 수도 있습니다.

 

 다리를 저는 것

 

관절염이나, 기타 여러 가지 이유로 약하게 저는 것은 별 문제가 아닐 수가 있습니다. 하지만 다리를 심하게 절면, 응급실로 오는 것이 맞습니다.

우리나라는 소형견이 상당히 많으며 특히 말티즈, 푸들 등 인기 품종에서는 근친 교배로 인한 유전적인 결함으로 슬개골 탈구가 상당히 많이 발생합니다. 그러므로 슬개골 탈구여부는 항상 관찰하실 필요가 있습니다.

 

공원에서 운동을 하거나 쇼파나 침대에서 뛰어내린 후 깽 거리면서 통증을 나타내고 오랜 기간 회복이 되지 않는다면 전십자인대 파열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시간이 지나면, 인대 손상이 회복되기 어려울 수도 있습니다.

 

사고로 인하게 부딪힌 경우

 

교통사고에서는 아주 사소하게 부딪히고 문제가 없어 보여도 응급실로 가야 합니다. 아무리 괜찮아 보여도 내출혈이 있을 수가 있습니다. 뿐만 아니라 방광이 파열되었다고 해도 처음에는 증상이 나타나지 않습니다. 그리고 이것은 X-ray를 통해서만 확인할 수 있으므로 병원을 가야 합니다. 설사 처음에 아무런 문제가 없다고 생각되고 집으로 보낸다고 해도 최소한 3일간은 잘 관찰을 해야 합니다. 그리고 이차 방문 때에는 아마도 증상이 나타나면 전문적인 수의사에 의해서 확인할 수 있을 것입니다.

 

한 사례에서는 처음에는 전혀 이상이 없었으나, 몇 시간이 지나면서 호흡에 어려움을 겪었는데 그 이유가 횡경막이 약하게 찢어지고 그로 인하여 내장이 폐 쪽으로 들어가서 숨쉬기가 힘들었기 때문이었습니다.

 

사고가 심하게 나서 병원으로 올 때는 특히 물리지 않도록 주의해야 합니다. 평소에 단 한 번도 물지 않았던 개도 통증으로 인하여 무는 경우가 있고, 이 과정에서 안고 가다다 개를 떨어뜨릴 수도 있습니다. 손도 조심해야 하지만, 불쌍하다고 얼굴을 가까이 대서는 절대로 안 됩니다.

 

고창증 (鼓脹症, bloat)

 

고창증은 반드시 동물병원에 와야 하는 심각한 상황입니다. 하지만 고창증이 뭔지를 알아야 올 수 있을 것 같습니다. 고창증은 다른 이름으로는 “위염전증후군”이라고도 합니다. 도대체 무슨 말인지도 모르는 이 말은 영어로는 bloat입니다. 부풀어 오른다는 의미입니다. 즉 개의 위가 부풀어 오르는 것 같으면 바로 병원에 오지 않으면 2~3시간 만에도 죽을 수가 있습니다.

 

고창증은 사료를 너무 빨리 먹어서도 생깁니다. 그러므로 노령견이 아니라면 사료를 바닥에 주지 않고 얕은 테이블에 주는 것은 그다지 바람직하지 않습니다. 오히려 어린 강아지들은 고창증 방지용 사료그릇을 판매하기도 합니다.

 

노령견은 대개 관절염을 가지고 있어서 사료를 먹는 것이 불편한지 확인하고 사료 먹는게 불편하면 낮은 테이블에 올려주는 것이 좋습니다.

 

 

숨쉬기 힘들어 할 때

 

언제 어디서든 숨쉬기 힘들어하면 바로 동물 병원에 가야 하는 상황입니다. Old Good Dog 에서는 노령견이 숨쉬기 힘들어하는 이유를 몇 가지 정리했습니다.

 

 호흡곤란은 말 그대로 숨을 쉬는 것을 힘들어하며 가쁘게 쉬게 됩니다. 청색증은 혀가 파랗게 변하는 것을 말합니다. 호흡곤란에서는 호흡수가 증가하면서 배가 불룩거리는 복식 호흡을 하고, 안절 부절하지 못하면서 자세를 계속 바꾸고 옆으로 누워있는 것을 별로 좋아하지 않습니다. 청색증이 오게 되면 말 그대로 혈액 내에 있는 산소의 부족으로 인하여 전신 장기 및 뇌에서는 산소가 부족하게 됩니다. 청색증이 나타나면 서늘하게 해주시고 바로 응급으로 내원하셔야 합니다. 위의 증상들은 주로 흉수가 차거나 심장 문제로 인하여 폐에 물이 차는 경우 많이 나타나는 심장 문제들로 매우 위험한 응급 상황으로 진행되게 됩니다.

 

 후두 마비 (laryngeal paralysis)

후두 마비가 있는 강아지는 특히 날이 더워지기 시작하면서 호흡이 어려워져서 응급실로 오는 경우가 많습니다.

 

 Congestive heart failure 울혈성 심부전

작은 개들은 심장에 문제가 생겨도 주인이 잘 모르다가, 숨쉬기 힘들어하면 알 게 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폐렴

후부마비가 있으며 폐렴에 걸리기 쉽습니다. 그 외에도 폐에 물이 차는 폐수종 때문일 수도 있습니다. 특히 심장이 나빠도 폐에 물이 찰 수 있습니다.

 

발작 (seizures)

만약에 간질을 앓고 있는 않은 개인데 발작을 하면 바로 병원에 가야 합니다. 일부 발작은 뇌에 손상을 입힐 수가 있기 때문입니다. 수의사가 발작을 멈추는 약을 빨리 먹여서 원인을 찾으려고 할 것입니다. 갑자기 쓰러지는 경우, 혹은 완전히 쓰러지지 않아도 일시적으로 쓰러지고 나서 얼마 지나지 않아도 다시 일어나는 경우도 위험할 수 있습니다. 특히 항상 염두에 둘 것은 사람이 보이지 않는 곳에서 언제 어디서 몇 번이나 쓰러졌는지 알 수가 없다는 점입니다.

 

뿐만 아니라, 노령견의 발작은 뇌종양에서 오는 경우가 많으나, 그 외에도 뇌졸중, 뇌의 염증이 원인일 수도 있습니다. 

 

갑작스러운 변화를 보일 때

 

어떤 변화든지 그리고 그것이 감정상의 변화라도, 갑작스럽게 변화하면 그 정도에 따라서 동물병원에 방문해야 합니다.

 

bottom of p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