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 of page

노령견 돌봄.

 

노령견과 질병관리 : 당뇨병

 

당뇨병이란 그 이름에서도 알 수 있듯이 소변에 당이 섞여 나오는 질병입니다. 강아지에서 나타나는 당뇨병은 일상에서 ‘다식(多食), 다음(多飮), 다뇨(多尿)’의 증상으로 동물병원을 방문, 건강검진을 받다가 많이 발견되곤 합니다.

 

강아지의 당뇨병은 사람의 당뇨병은 좀 차이가 있는데, 사람은 비만 등의 생활습관에서 기인하는 ‘제2형 당뇨병’이 대부분이지만, 강아지는 췌장세포의 손상으로 인하여 인슐린이 분비되지 않거나, 분비량이 적은 ‘인슐린 의존성 당뇨병’ 즉 제 1형 당뇨병이 대부분입니다. 특이한 것은 고양이는 제 2형 당뇨병이 많습니다.

 

당뇨병으로 의심되는 강아지가 내원하면, 병원에서는 혈액 검사, 뇨(尿) 검사, 임상 증상 등을 토대로 진단을 내립니다. 당뇨병으로 확진된 강아지는 부족한 인슐린을 주사를 합니다. 일단 사람과 달리 인슐린 자체가 부족하기 때문에, 인슐린 주사 이외의 다른 약물 요법은 거의 효과가 없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보통은 하루에 두 번 주사하는 것이 바람직합니다. 특이한 사항은 사람들은 당뇨병이 걸리면 식단조절을 하지만 개들은 어차피 사료에 탄수화물이 적기 때문에 사료를 조절할 필요가 거의 없고, 일반적으로 사료 때문에 당뇨병이 생긴다고 생각되지 않습니다.

 

당뇨병에 걸린 강아지는 물을 많이 마시고 배뇨량이 늘며, 음식 섭취량이 늘었음에도 체중이 줄어드는 증상을 보입니다. 이 때, 전문가가 조언하는 적절한 치료와 관리를 시작하지 않으면 백내장이나 피부병, 방광염 등의 합병증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특히 백내장은 눈안에 포도당 결정이 생기는 것으로 눈이 혼탁해지고, 결국 시력을 잃을 수가 있습니다.

 

당뇨병에 걸린 강아지가, 갑자기 식욕을 잃고 먹이를 먹지 않으면 바로 병원에 가야 합니다. 그 이유는 당뇨병성 케톤산증이라는 응급상황이 발생할 수 있기 때문인데, 사람도 마찬가지인데, 대부분은 지방이 포도당으로 바뀌어서 사용되는데, 당뇨병에 걸린 개가 인슐린이 부족하면, 지방을 분해해서 에너지원으로 사용하게 되고 이 과정에서 케톤 구조를 가진 물질들이 많이 만들어집니다. 이것은 에너지원이기는 하지만 독성을 가지고 있습니다. 특히 뇌에 독성을 보이기 때문에 사람에게서도 당뇨병성 케톤산증은 매우 위급한 병입니다. 개들인 아프기 때문에 더 먹지 못하게 되고 그러면 다시 케톤이 더 늘어나기 때문에 악순환이 반복되면서 잘못하면 사망에 이르를 수 있습니다.

치료는 수의사가 하겠지만, 대개는 일정하게 인슐린을 넣어주게 됩니다. 인슐린이 들어가면 세포가 포도당을 사용할 수 있게 되고 케톤의 생성이 중단됩니다. 개가 당뇨병성 케톤산증에 빠지게 되면 집에서 주사하는 정도의 인슐린으로는 부족하기 때문에 반드시 동물병원을 방문해야 합니다.

 

당뇨병에 걸린 개를 다룰 때 주의해야 하는 것 중의 하나는 다른 사람에게 맡길 때 당뇨병에 대해서 아주 자세히 설명하고 확실하게 부탁해야 합니다. 대개는 사람들이 인슐린 주사를 할 때 농도와 양을 잘 못 맞추기 때문에 이에 대해서 확실하게 설명해야 합니다.

 

사람들은 주사를 맞는 것을 불편하게 생각하고 주사를 매우 싫어하는 사람도 있지만, 개들은 그러한 공포가 생각보다 적습니다. 그 이유는 아마도 개의 피부가 잘 늘어져서 인슐린 주사의 경우는 그렇게 아프지도 않다고 생각하기 때문에 당뇨병에 걸린 개들이 사람들이 생각하는 것보다는 불편하지 않게 오래살 수도 있습니다.

 

생각할 점

 

당뇨병의 치료에는 당연히 인슐린이 가장 중요합니다. 하지만 장기적으로 당뇨병은 나빠질 수 밖에 없으며 합병증이 나타날 수도 있습니다. 아직 당뇨볍을 치료할 수 있는 방법이 개발되지는 않았지만 췌장세포가 파괴되서 분비되는 인슐린이 적다는 것은 어쩌면 회복의 가능성도 매우 낮을지도 모른다는 것을 의미할 것입니다.

아직 치료법이 없지만, 이 과정에는 반드시 염증이 동반된다는 것을 생각해야 합니다. 즉 몸안의 염증을 억제하는 것은 직접적으로 도움이 되지는 않겠지만 장기적으로는 도움이 될 것으로 생각됩니다. 또한 최근에 마우스 실험에서 당뇨병 모델에서 당뇨병을 예방하는데 있어서 자가포식이 매우 중요하다고 알려지게 되었습니다. 즉 자가포식이 방해를 받게 되면 당뇨병이 일어나게 됩니다.

 

bottom of page